|
타이틀(Title) |
일본어표기 |
본문(Text) |
|
1 |
가덴신도 |
家伝神道 |
각 가문에서 생겨서 전해진 신도. 주로 신사의 신관 가문(社家,샤케)에 보이므로 샤케(社家)신도, 또는 샤덴(社伝), 덴샤(伝社)신도라고 한다. ‘가덴’은 ‘샤덴’보다 넓은 의미의 용어로 해석된다. 중고(中古)이래의 신불습합설의 보급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측면도 있다. 원래 의미상으로는 외궁의 와타라이가(度会家)의 와타라이(度会)신도, 중세말의 요시다가(吉田家)의 요시다신도, 근세 초기의 여러 쥬카(儒家)신도의 일부 등과 하치만궁(八幡宮), 덴만궁(天満宮) 등의 고사(古社) 전래에 의한 것도 가덴신도에 들어간다... |
|
2 |
고류신도 |
御流神道 |
료부(両部)신도에 속하는 신도설로, 고류란 본래 법황(法皇)・법신왕(法親王)의 법류(法流)를 가리키는 말이다. 덧붙이면 도미츠 히로사와류(東密広沢流)의 근본이 되는 여섯개 유파의 하나로 고류(御流,仁和寺御流)가 있는데 이것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고 여겨진다. 그 호칭이 처음 나온 것은 오닌 26년(応仁,1419)에 편찬된 료헨(良遍)의 『日本書紀第一聞書』에 “산보인 고류(三宝院御流)라고도 하고 혹은 신도라고도 해서 여러 지방에서 사용한다”라고 하였는데, 그것이 정착한 것은 중세 후기 이후로 보이며, 중세 말기의 저작... |
|
3 |
깃케신도 |
橘家神道 |
다치바나(橘)씨가 전래한 신도설로 그 연원을 다치바나 모로에(橘諸兄)에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실제는 아마도 에도(江戸)시대가 되고 나서 조직되었을 것이다. 깃케신도가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에도시대 중기의 스이카신도가(垂加神道家)이기도 했던 다마키 마사히데(玉木正英)가 이 신도설을 창도한 호에이(宝永,1704~10) 연간의 일이다. 마사히데는 교토(京都)의 우메노미야(梅宮)신사의 신관(神官)으로, 겐로쿠기(元禄期) 초기에 다치바나가의 자손으로 여겨지는 스스키다 모치사다(薄田以貞)라는 인물로부터... |
|
4 |
다이시류신도 |
太子流神道 |
쇼토쿠타이시(聖徳太子)를 조상으로 받들고, 신유불 삼교일치설을 가진 신도유파이다. 쇼토쿠타이시는 소가(蘇我)씨와 함께 모노노베(物部)씨나 나카토미(中臣)씨에 대항해서 일본에 불교를 도입한 인물이다. 중세의 신도설에서 가마쿠라(鎌倉) 시대에 쇼토쿠타이시가 저술했다고 하는 『先代旧事本紀』가 중요하게 여겨지게 됨에 따라 『太平記』의 「未来記」에 있는 것과 같이 예지 능력 등, 쇼토쿠타이시에 대한 신앙이 높아졌다. 오하라에코토바(大祓詞)를 쇼토쿠타이시가 만들었다고 하여, 신・유・불에 대한 근본지엽화실설(根本枝葉... |
|
5 |
레이소신도 |
霊宗神道 |
붓카신도(仏家神道)의 하나. 에도(江戸)시대에 죠온도카이(潮音道会,1628~95)가 창시하고, 조인(乗因,1683~1739)이 더욱더 발전시킨 교설이다. 레이소(霊宗)라는 명칭의 유래는 에도시대 전기의 오우바쿠슈(黄檗宗)의 승려 죠온(潮音)이 찬술(撰述)한 『先代旧事本紀大成経』(이하『대성경(大成経)』이라 함)의 「神代本紀」속에 있는 ‘児天思兼命・・・斯神伝霊宗道’라는 문장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죠온은 이 『대성경』을 중심으로 한 신도설을 전개했는데, 이른바 ‘대성경사건’(旧事大... |
|
6 |
료부신도 |
両部神道 |
진언밀교계(真言密教系) 신도설의 총칭. 이세신궁(伊勢神宮) 내궁을 태장계대일(胎蔵界大日), 외궁을 금강계대일(金剛会大日)로 설명하고, 그 외 여러 신의 본지(本地), 국토생성의 내력, 국호의 유래, 왕권의 근거 등에 대해 하나하나를 밀교교리에 부회(附会)시킨 신도설이다. 호칭의 유래는 요시다신도의 조상인 요시다 카네토모(吉田兼倶,1435~1511)가 그의 저서 『雄一神道名法要集』에 세가지 신도(三家神道)를 세우고 그 하나로서 ‘료부습합(両部習合)신도’를 들었다. 즉, “태장계와 금강계의 양계가 내궁과 외... |
|
7 |
리토신치신도 |
理当心地神道 |
에도(江戸)시대 초기의 유학자인 하야시 라잔(林羅山)이 창설한 신도설이다. 라잔은 도쿠가와(徳川)막부의 유일한 유관(儒官)으로 출사했는데, 만년에 이르기까지 신도관련 저서도 많이 남겼으며, 여러 서적에서 ‘리토신치신도’에 대해 기록하였다. 그러나 모두 다 리토신치신도의 교리를 전개한 것은 없고, 그 전체상이 명확하다고 하기는 힘들다. 라잔이 문헌상 처음으로 자기의 신유합일론(神儒合一論)에 따라 신도설을 논한 것은 게이쵸 연간(慶長,13세부터 23세경)에 저술한 문장을 모은 『随筆』1에서였다. ‘리토신치신도’라는 말은... |
|
8 |
모노노베신도 |
物部神道 |
『先代旧事本紀大成経』의 사상을 기본으로 하는 신도. 이 『大成経』에는 21권본(三十一巻本)과 72권본(七十二巻本)이 있다. 그 성립시기나 유래・계통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고 명확하지 않지만, 둘 다 근세 초기의 위작(偽作)이라는 견해에 대해서는 거의 일치한다. 또 둘 다 취지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다이세이쿄(大成経)신도라고도 한다. 그리고 본래 쇼토쿠타이시(聖徳太子)의 저작이라고 해서 다이시류(太子流)신도라는 명칭도 있다. 모노노베신도라는 명칭이 있는 것은 『大成経』속에 ‘쇼토쿠타이시가 신도학을 일으켰을 때 특히 종... |
|
9 |
미와류신도 |
三輪流神道 |
나라현(奈良県) 오미와(大神)신사의 진구사(神宮寺)였던 뵤도사(平等寺)・다이고린사(大御輪寺)를 중심으로 성립, 전개된 료부(両部)신도 일파의 신도설이다. 그 기원에 대해서는 통상 뵤도사를 창시한 게이엔(慶円,1140~1223)이 원조로 여겨지고 있다. 그에 대한 확실한 전기인 『三輪上人行状』에 그와 진기(神祇)에 얽힌 몇 개의 사적(事跡)이 기록되어 있지만, 명확히 신도설의 설립을 보여주는 내용이 전혀 없으므로, 이것을 후세의 가탁(仮託)으로 여기는 견해도 있다. 이와 같이 게이엔시대에 어느 정도 이 신도설이 형성되... |
|
10 |
붓카신도 |
仏家神道 |
불가(仏家)에 의해 만들어진 신도. 붓케신도라고도 읽는다. 중세에 보급, 성행한 신불습합의 신도설이다. 크게 진언종계(真言宗系)와 천태종계(天台宗系)의 두 파로 구분된다. 진언계는 구카이(空海) 저작에 가탁(仮託)하는 『麗気記』와 교키(行基)의 저작에 가탁하는 『大和葛城宝山記』 및 이세 호라쿠사(法楽寺) 쓰카이(通海)의 『参詣記』 등을 거쳐서 형성되었다. 주된 취지는 진언밀교(真言密教)의 금강(金剛), 태장(胎蔵) 두 이치를 이세(伊勢)의 내궁(内宮)・외궁(外宮) 양궁의 이치에 맞춰서 설명하는 것을 비롯하여... |
|
11 |
산노신도 |
山王神道 |
산노신도는 엔랴쿠사(延暦寺)의 진수사(鎮守社)인 히요시타이샤(日吉大社)의 산왕신앙을 기반으로, 천태종(天台宗)에서 형성된 신도의 한 유파이다. 근세의 도쇼궁(東照宮)을 둘러싼 교설은 특히 이치지츠(一実)신도라 하여 구별된다. 히요시(日吉)의 신은 원래 히에이산(比叡山)의 신이었는데, 사이쵸(最澄)가 엔랴쿠사를 개창함에 따라 천태종과의 교섭이 시작되었다. 산노라는 호는 일반적으로 불교에서 산의 신을 산왕이라고 칭하는 것을 따르지만, 직접적으로는 중국 천태종의 본산인 천태종 국청사(国清寺)의 진수신(鎮守神)인... |
|
12 |
슈겐도 |
修験道 |
슈겐도는 산악수행을 통해서 초자연적 능력을 획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여러가지 구제활동을 행하는 종교이며, 고대말부터 중세 초기에 걸쳐 점차 그 형태를 정비해 갔다. 그러나 메이지(明治) 초년의 신불분리(神仏分離)와 슈겐도 폐지로 인해 쇠퇴하게 되었다. 하지만, 쇼와 20년(昭和,1945)의 종교법인령공포 이후 구혼잔파(旧本山派)・도잔파(当山派)를 비롯하여 계보를 달리하는 다수의 슈겐도 교단이 독립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근세말의 슈겐도계는 천태계(天台界)의 슈겐도혼잔파와 신곤계(真言界)의 슈겐도토잔파, 이 두 파를 ... |
|
13 |
스이카신도 |
垂加神道 |
에도(江戸)시대 초기의 유학자로 신도가(神道家)인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斎)가 창도한 신도. 중세 이래의 각 신도설을 집대성한 유교적 신도로, 국학이 대두할 때까지는 신도의 이론적 지주의 하나로서 구게(公家), 부케(武家)나 신관(神職) 등 구별없이 널리 침투되었다. 안사이는 청년기에 출가했다가 다시 속세로 돌아왔고, 도사번(土佐藩)의 가로(家老)인 노나카 켄잔(野中兼山)의 보호하에, 해남학파(海南学派)의 주자학을 배우고, 나중에 교토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그의 주자학 연구는 당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명나라의 『四書... |
|
14 |
쓰시마신도 |
対馬神道 |
쓰시마(対馬)에 보이는 신사나 신앙을 말하지만, 그것이 의미하는 범위는 일정하지 않다. 쓰시마는 해상교통의 중계지로서 고대부터 중요시 여겨졌다. 시키나이샤(式内社)도 많고 진기관(神祇官)의 점술(亀ト,거북점)을 담담하는 우라베(卜部)씨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고대의 우라베씨의 점술을 중심으로 한 신도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다만, 쓰시마 우라베는 단절되었다. 소(宗)씨가 통치한 쓰시마는 혼슈(本州)의 영향에서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신사의 형태도 발전되지 못했고, 성지신앙적 요소가 강한, 작은 사당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것... |
|
15 |
쓰치미카도신도 |
土御門神道 |
아베노 세이메이(安倍清明)이래, 음양도(陰陽道)의 아베씨(安倍氏,후에 쓰치미카도가土御門家)에게 전해진 천문술이나 역술(暦術) 등을 근세 중기의 음양두(陰陽頭,음양사 우두머리)인 쓰치미카도 야스토미(土御門泰福)가 스이카(垂加)신도와 이세(伊勢)신도 등을 바탕으로 집대성한 신도를 말한다. 아베(安倍)신도, 안케(安家)신도, 덴샤(天社)신도, 덴샤(天赦)신도라고도 한다. 단, 야스토미 자신은 시부카와 하루우미(渋川春海)에게 지금부터 안케신도라 하고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斎)와 와타라이 츠네아키... |
|
16 |
오기마치신도 |
正親町神道 |
오기마치 킨미치(正親町公通,1653~1733)가 스이카(垂加)신도를 천황을 비롯한 조정의 신하(廷臣)들에게 전한 것에서 시작된다. 킨미치는 엔포 8년(延宝,1680)에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斎)에게 서약문(神道誓文)을 제출하고, 본격적으로 스이카신도를 배움과 동시에 주자학도 수학했다. 안사이는 2년 후인 덴와 2년(天和,1682) 9월 16일에 세상을 떠났고, 그가 사망하기 이틀 전에 안사이의 제자인 이즈모지 노부나오(出雲路信直), 나시키 스케유키(梨木祐之), 마츠모토 타메오키(松本為起)가 스이카신도... |
|
17 |
요시다신도 |
吉田神道 |
무로마치(室町) 후기 이후, 근세를 통해서 진기계(神祇界)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신도설이며 유파이다. 요시다 카네토모(吉田兼倶,1435~1511)에 의해 창시되었다. 카네토모 자신은 ‘유이이치(唯一)신도’, ‘소겐(宗源)신도’, ‘겐폰소겐(元本宗源)신도’ 등으로 불렀지만, 현재는 ‘요시다신도’, ‘우라베(卜部)신도’라는 호칭이 일반적이다. 요시다가(吉田家)는 원래... |
|
18 |
요시카와신도 |
吉川神道 |
에도(江戸)시대 전기의 신도가 요시카와 코레타리(吉川惟足,1616~94)가 창설한 신도설. 코레타리는 원래 에도 니혼바시(日本橋)의 상인이었는데, 당시 요시다가의 실력자 오기와라 카네요리(荻原兼従,1590~1660) 밑에서 신도와 와카(和歌)를 배우고 점점 두각을 나타내었다. 그 후 요시다가의 호주가 어린데다가 카네요리의 제의를 받아 요시다신도의 도통(道統)을 계승했다. 그 때의 계약에는 어린 호주가 성장한 후에 요시다신도의 도계를 그에게 전수한다고 되어 있었는데 실현되지 않았다. 그 사이에 코레타리는 막부(幕府)의... |
|
19 |
우덴신도 |
烏伝神道 |
가모노 노리키요(賀茂規清,우메츠지노 노리키요梅辻規清,1798~1861)가 제창한 신도의 교설. 노리키요는 가모와케이카즈치(賀茂別雷)신사 집안 출신이고, 전래되어온 신전(神伝)을 기반으로 가르침을 세웠다고 한다. 가모씨의 조상인 야타카라스(八咫烏)로부터 전해진 신도라는 의미로 ‘우덴신도’라고 칭한다. 그 교의는 하늘에서 사용되는 ‘가’, 즉 양(陽)과 땅에서 사용되는 ‘미’, 즉 음(陰)의 결합에 의해 자연과 인륜에 공통되는 모든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그것이 ‘가미의 도(道)’, 즉 ‘신도(神道)... |
|
20 |
운덴신도 |
雲伝神道 |
에도(江戸)시대 진언종(真言宗) 승려였던 지운손쟈(慈雲尊者) 온코(飲光,1718~1804)가 주창한 신도이다. 그의 주거지가 가츠라기산(葛城山)에 있어서 가츠라기(葛城)신도라고도 한다. 지운의 학문은 밀교(密教), 선(禅)뿐만 아니라 실담어(悉曇語)와 유학・신도에까지 미쳤다. 특히 정법율(正法律)을 주장해서 계율을 부흥했고, 『梵学津梁』 1천권을 저술하여 역대의 실담학(悉曇学,범어・범어글자 등의 연구)의 집대성을 이루는 등, 당대 일류의 학자였다. 그는 당시의 유학자 및 신도가들의 불교비판에 대항해서 ... |
|